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

[ javascript] 02. 연산자_산술연산자

02. 연산자_산술연산자
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
산술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,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

 

+ : 왼쪽 피연산자의 값에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더함.
- : 왼쪽 피연산자의 값에서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뺌.
* :왼쪽 피연산자의 값에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곱함.
/ : 왼쪽 피연산자의 값을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으로 나눔.
% : 왼쪽 피연산자의 값을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으로 나눈 후, 그 나머지를 반환함.

 


 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2022.07.12. 연산자 01_산술연산자</title>
</head>

<body>
    <script>
        let a = 1;
        let b = 2;

        let A = '1';
        let B = '2';

        const D = 'ㅇㅅㅇ'


        console.log(a + b);


        let C = A + B;
        console.log(C, typeof (C));

        let E = a + A;
        console.log(E)  //숫자 a가 문자로 변한 상태. 자동으로 형변환이 일어남 -> 자바스크립트의 특징

        console.log(a - b, A - B);
        console.log(a - B, B - a, A * B, A / B, 1 / 0);

        let F = 10;
        let G = 3;

        F % 2 ? console.log('홀수') : console.log('짝수');

        console.log(F % 2, G % 2)
    </script>
</body>

</html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