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
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왕초보 강의 정리_변수/자료형

자바스크립트 왕초보 강의 정리
변수/자료형

 


1. 변수

name = "Mike";
age = 3;

--접근 방법--
alert(name)
console.log(name)
변수를 그냥 name 이런식으로만 사용하면, 다른 개발자가 name을 사용하면 마지막으로
사용한 name이 적용된다. 그래서 변수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 let 과 const

let name = "Mike";


let을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let을 생략하고 적는다.
let grade = "F"; 
grade = "A+";

 

const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를 입력할 때 사용. const로 입력한 변수를 수정할 경우, error 가 발생한다.
보통, 파이, 최대값, 생일 등 바뀌지 않는 값을 입력할 때 사용하고 대문자를 사용해서 선언하는 것이 좋음! = 상수라는 것을 알린다.
 
📌즉,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
변하지 않는 값은  conts
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할 것
 
모든 변수를 일단 const로 선언하고, 나중에 바뀔 수 있는 값을 let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!
 
변수추가내용
  1. 변수는 문자와 숫자, $와 _ 만 사요가능
  2. 첫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다.
  3.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  4.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사용
  5.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선언

 

2.자료형

 name = "Mike";
        name = 'Mike';
        name = `Mike`;
        // 문자형은 큰 따옴표, 작은 따옴표, 백틱을 사용한다.
        // 작은따옴표와 큰 따옴표의 차이는 크게 없다.
 const message = "I'm a boy"; // 큰 따옴표만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 작은 따옴표를 사용
        const message2 = 'I\'m a boy'; //작은 따옴표만 사용하고 싶을 때는 역슬래쉬를 사용하면 특수문자로 인식한다
        const message3 = `My name is ${name}`; //백틱은 문자열 내부 변수를 표현하고 싶을 떄 사용하면 편리
        console.log(message3)
        const message4 = `나는 ${30 + 1}살 입니다.`; //표현식
        console.log(message4)
```
const age = 30; //숫자형 number
        const PI = 3.14;
        console.log(1 + 2) //더하기
        console.log(10 - 3) //빼기
        console.log(3 * 2) //곱하기
        console.log(6 / 3) //나누기
        console.log(6 % 4) //나머지
```
const name = "piter";
        const y = name / 2;
        console.log(y)
        //콘솔에 NaN이라고 뜸 NaN = Not a Number 숫자가 아니다!
```
  const name = "piter";
        const y = name / 2;
        console.log(y)
        //콘솔에 NaN이라고 뜸 NaN = Not a Number 숫자가 아니다!
        // 숫자가 관련된 작업일 때 중요함
```
//Boolean 논리적요소
        const a = true; //참
        const b = false; // 거짓
        const name = "Mike";
        const age = 30;
        console.log(name == 'Mike')
        console.log(age > 40)